아식스 소닉블라스트 — 착화후기(스펙·기술·MEGABLAST 비교)

아식스 SONICBLAST — 스펙·기술·착화후기·MEGABLAST 비교(싼로그)

업데이트: · 카테고리: 러닝화 리뷰

결론 먼저 — 소닉블라스트는 듀얼 폼 + Pebax 플레이트를 쓴 업템포 지향 슈퍼 트레이너. 템포·롱템포에서 전족 스냅이 경쾌하고, 아주 느린 조깅에선 강성이 도드라질 수 있다. 같은 고스택 라인의 메가블라스트는 비플레이트 단층 폼으로 롱런/전천후 커버가 장점.
플레이트 러닝화 가이드 · 템포 트레이닝 루틴

서론

첫 발을 디딜 때 소닉블라스트는 ‘툭’ 하고 앞을 밀어주는 느낌을 선물합니다. 수치로는 46/38mm, 8mm 드롭, 255g 전후. 하지만 러너에게 중요한 건 숫자 그 자체보다 오늘의 컨디션과 페이스에서 어떤 표정을 짓느냐죠. 저는 새벽 템포 8km와 퇴근 후 이지 6km를 번갈아 꽤 오랫동안 신어봤습니다. 템포에선 전족부가 딱딱 마치 스위치를 켠 듯 반응했고, 이지에선 뒤꿈치가 살짝 각을 세우는 기분이 남더군요. 그래서 이 리뷰는 ‘스펙 나열’에 그치지 않고, 실제 주행에서 느껴진 작은 차이들—코너링에서의 밟힘, 젖은 노면에서의 마음 편함, 신발끈을 바꿨을 때의 변화—까지 사람 말로 풀어보려 합니다. 메가블라스트와의 비교도 결국 “내 주간 루틴에서 누가 더 많은 날을 가져갈까?”라는 생활의 언어로 접근해요. 숫자와 체감 사이, 그 좁은 틈을 채워보겠습니다.

아식스 소닉블라스트 커버 이미지(업템포 슈퍼 트레이너)
소닉블라스트: 전족 반발·템포 워크아웃 특화

작성자 · 검수

싼로그 — 러닝화 리뷰/핏 코칭 7년. 하프 1:29:xx, 10K 39:xx. 주법: 포어-미드풋, 주당 60~70km. 리뷰 방식: 시착(템포·롱런·회복) + 자료 교차검증.

검수: 2025-09-24 · 다음 갱신: 스펙/컬러 변동 시

목차

    핵심 스펙 한눈에

    용도: 업템포/롱템포/레이스 트레이닝 가격대: 미화 $180급 스택/드롭(남성): 약 46/38mm · 8mm 무게(US M9): ~255g 전후 플레이트: Pebax 기반(전족 곡률 강조)

    미드솔
    상층 FF TURBO² + 하층 FF BLAST MAX
    아웃솔
    ASICSGRIP(젖은 路面 접지 우수)

    정사이즈, 전족 여유·힐 카라 접촉 주의

    에디터 메모 — ‘수치’는 방향을 알려주고, ‘발’은 답을 알려줍니다. 소닉은 숫자보다 체감 편차가 큰 편이라 꼭 템포 페이스로 시착해 보세요.

    상세 스펙

    주요 스펙(지역/컬러에 따라 일부 다를 수 있음)
    항목내용비고
    정가$180(국내 변동)멤버 컬러/한정 판매 케이스 존재
    스택/드롭약 46/38mm · 8mm남성 기준(여성 1mm 낮은 표기도 존재)
    무게~255g(US M9)리뷰 실측 평균
    미드솔FF TURBO²(상층) + FF BLAST MAX(하층)반발/쿠션 밸런스
    플레이트Pebax 기반 Astroplate전족 스푼형 곡률
    아웃솔ASICSGRIP젖은 路面·코너링 신뢰성
    어퍼엔지니어드 메시통기성·경량

    에디터 메모 — 실제로는 끈/양말/인솔 조합에 따라 무게가 미세하게 달라집니다. 저는 레이싱 얇은 양말에서 가장 반응이 좋았어요.

    주행 감각을 만드는 기술 포인트

    • 듀얼 폼 스택 — 상층 FF TURBO²가 반발·복원 속도를, 하층 FF BLAST MAX가 하중 분산과 롤을 담당. 템포에서 리듬이 쉽게 붙는다.
    • Pebax 플레이트(전족 곡률) — 발 앞쪽에서 스냅이 크게 걸려 토-오프가 경쾌. 아주 느린 페이스에선 강성이 ‘툭’ 느껴질 수 있다.
    • ASICSGRIP — 비·젖은 노면 코너링에서 마찰이 안정적. 고스택 모델의 흔들림을 줄여 준다.
    • 러커 & 베벨 — 힐 베벨이 적극적이라 힐→미드풋 전환이 빠른 대신, 힐 스트라이크가 큰 러너는 초반 접지감이 단단하게 느껴질 수 있다.

    에디터 메모 — 같은 플레이트라도 곡률/위치가 느낌을 바꿉니다. 소닉은 ‘앞’에서 당겨주는 타입이라 전족 접지가 익숙할수록 보상이 커요.

    착화 후기(크로스 요약)

    좋았던 점

    • 업템포에서의 전족 스냅 — 템포·롱템포·인터벌에서 페이스 올리기 쉬움
    • 접지/내구 — ASICSGRIP 덕에 젖은 路面에서도 신뢰감
    • 가격 포지션 — 플레이트 탑재 슈퍼 트레이너 중 합리적

    아쉬운 점

    • 이지페이스 — 힐/중족 강성으로 아주 느린 조깅은 투박할 수 있음
    • 힐 카라 마찰 — 양말·레이싱으로 보정 필요(개인차)
    • 폭 옵션 제한 — 발볼이 넓다면 시착 권장

    에디터 메모 — 템포 4'10~4'30 구간에서 가장 빛났습니다. 회복주에 신을 땐 힐락 묶음+두꺼운 양말로 각을 죽이는 편이 좋았어요.

    사이즈 & 핏

    대체로 정사이즈가 무난. 전족부는 살짝 여유, 뒤꿈치가 민감한 러너는 힐락(Heel Lock) 묶음법으로 마찰을 줄이는 것을 추천.

    힐락 묶는 법(간단)
    1. 윗구멍까지 끈을 끼우고 마지막 구멍에 고리를 만든다.
    2. 반대쪽 끈을 고리에 통과시킨 뒤 장력을 조절한다.
    3. 발등 압박이 없도록 마지막에 미세 조정.

    에디터 메모 — 발이 얇은 편이면 인솔 아래 얇은 보정패드를 반 뒤꿈치에 붙이면 힐 슬립이 줄어듭니다.

    추천 사용 시나리오

    페이스/지면별 소닉블라스트 적합도
    목적페이스(분/㎞)지면소닉블라스트 적합도비고
    템포·롱템포3'50 ~ 5'10아스팔트/트랙매우 높음전족 스냅·반발
    인터벌3'30 ~ 4'30트랙/평탄 로드높음플레이트 반응성
    롱런 20km+4'50 ~ 5'50아스팔트보통지속 안정은 메가블라스트가 편안
    회복주5'40+자연포장/보도블럭낮음~보통강성 체감(개인차)

    에디터 메모 — ‘한 켤레로 다 하겠다’면 메가블라스트, ‘두 켤레 로테’면 소닉=워크아웃 담당이 효율적이었습니다.

    MEGABLAST와 핵심 비교

    SONICBLAST vs MEGABLAST — 포지션/구성/성향
    포인트SONICBLASTMEGABLAST
    포지션플레이트 슈퍼 트레이너(업템포)비플레이트 슈퍼 트레이너(롱런/전천후)
    미드솔FF TURBO² + FF BLAST MAX(2층)FF TURBO² 단층(연결감·롤 강조)
    플레이트Pebax 기반(전족 곡률)없음
    무게(남9)~255g~240g대 후반
    성향템포/롱템포/업템포 워크아웃롱런/일상 훈련 전 구간
    추천 러너속도놀이·레이스 페이스 연습폭넓은 페이스·장시간 안정

    한 줄 가이드
    • “업템포 중심 + 레이스 감각” → 소닉블라스트
    • “롱런·전천후 + 플레이트 이질감 NO” → 메가블라스트

    에디터 메모 — 10K·하프 목표 기록이 있으면 소닉의 효용이 커집니다. 풀마 장거리 위주면 메가의 관용성이 마음이 편했어요.

    소닉블라스트 vs 메가블라스트 비교 출처 디시인사이드
    성향 분담: 소닉은 ‘스냅’, 메가는 ‘연결’

    지면·날씨 퍼포먼스

    조건별 퍼포먼스 가이드
    조건건조젖음추움(0~5℃)더움(25℃+)
    아스팔트매우 좋음좋음좋음통기성 양호
    콘크리트좋음보통~좋음보통보통
    트랙좋음좋음좋음좋음
    비포장보통 이하낮음보통보통

    에디터 메모 — 빗길 인터벌은 가능하지만, 보도블럭 페인트·맨홀 위는 누구든 미끄러울 수 있어요. 그 구간만은 꼭 속도를 낮추세요.

    커뮤니티 한줄평(요약)

    • “템포·롱템포에서 속도 붙이기 좋다.”
    • “회복주는 딱딱함이 느껴질 수 있다.”
    • “젖은 노면 그립이 믿음직하다.”

    에디터 메모 — 서로 다른 주법·체중·지면 환경에서 나온 이야기들이라, 공통분모만 가져왔습니다. 나와 가장 비슷한 조건의 후기를 우선 참고하세요.

    참고/출처

    ※ 세부 수치/가격은 지역·시점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요.

    소닉블라스트로 템포데이 러닝 장면
    페이스를 올릴수록 빛나는 타입

    FAQ

    소닉블라스트, 데일리로 매일 신어도 되나요?
    가능은 하지만 템포/인터벌 비중이 높을 때 만족도가 큽니다. 롱런·이지 중심이면 메가블라스트가 더 편안합니다.
    젖은 노면에서 미끄럽지 않나요?
    ASICSGRIP 패턴 덕분에 비 오는 날 코너링 신뢰감이 준수합니다. 다만 페인트·보급 주변은 감속 권장.
    사이즈는 어떻게 고르면 좋을까요?
    대체로 정사이즈 권장. 뒤꿈치 민감하면 힐락 묶음법과 양말 두께로 보정하세요.
    메가블라스트와 둘 중 하나만 산다면?
    업템포 위주면 소닉, 롱런/전천후면 메가가 안전한 선택.

    결론

    러닝화를 고를 때 우리는 종종 숫자에 기대지만, 마지막 한 켤레를 결정짓는 건 내 발의 ‘기억’입니다. 소닉블라스트는 평범한 하루를 템포로 끌어올리고 싶을 때 먼저 손이 갔습니다. 훈련 계획표에 템포·인터벌이 두 번만 들어가 있어도 그 주의 리듬을 만들어 주거든요. 반대로 출근 전 가벼운 회복주엔 메가블라스트의 관용성이 더 위로가 됐습니다. 그러니 정답은 한쪽이 아니라, 당신의 주간 루틴에 누가 더 많은 일을 해줄지의 문제입니다. 속도를 부르는 날엔 소닉, 길게 가는 주엔 메가. 만약 두 켤레가 가능하다면 로테이션은 생각보다 체력을 아껴줍니다. 오늘도 신발끈을 고쳐 매며, 나에게 맞는 리듬으로 달려봅시다.

    요약 처방

    “속도 연습 + 레이스 감각”을 찾는다면 소닉블라스트. “롱런·폭넓은 페이스”가 목표라면 메가블라스트. 두 족 로테이션(메가=베이스, 소닉=워크아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SONICBLAST — 업템포 주 2회 이상이면 최적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