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무더위 속에서 에어컨이 고장 나면 그 불편함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특히 한여름 에어컨이 멈춰 버린 순간을 상상해 보세요. 땀으로 흠뻑 젖은 실내, 시원한 바람 한 점 없이 견뎌야 하는 시간… 이럴 때 가장 당황스럽고 답답한 건, “도대체 이 에러 코드는 무슨 뜻일까?” 하는 막막함이죠.
이번 가이드는 삼성 에어컨 사용자 여러분이 여름을 맞아 미리 점검하고, 혹시 모를 고장을 빠르게 진단·해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준비했습니다.
-
여름 전 필수 점검부터
-
DMS·AI 진단 활용법
-
C1xx~C8xx 주요 에러 코드별 원인·조치 안내
까지 꼼꼼히 정리했으니, 본문을 읽으며 그대로 따라 하시면 “더 이상 뜨거운 여름에 당황하지 않는” 탄탄한 대비가 가능합니다.
1. 여름 전 필수 점검 사항 비교
공통 점검
-
전원 연결 확인
-
실내기·실외기 전원 플러그 삽입 상태, 분전반 차단기 점검
-
-
리모컨·표시부 확인
-
리모컨 배터리 교체, 표시부 전원 램프 정상 점등 여부 확인
-
-
필터·통풍로 청소
-
먼지 쌓인 필터 제거 및 PM 필터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
-
실외기 주변 장애물 제거, 갤러리 창·커튼 정리
-
LG vs 삼성 비교 포인트
-
LG 에어컨: 물세척 가능한 필터, 숯 필터 주의
-
삼성 에어컨: DMS 웹 연동, AI 자가 진단 기능
2. 삼성 에어컨 기본 점검 흐름
-
DMS 웹페이지 미표시 시
-
LAN 케이블·IP 주소 확인 → 리셋 버튼으로 초기화
-
-
스탠드·시스템 에어컨 AI 진단
-
리모컨 ‘설정’ → ‘AI진단’ 실행 → 7~12분 자가 점검
-
“C(E)” 코드 표시 시 고객센터 문의
-
3. 주요 에러 코드 카테고리별 정리
삼성 에어컨 에러 코드는 크게 C1xx(실내기 회로·통신), C2xx(실외기·냉매 흐름), C3xx(압축기·센서), C4xx(동결·보호 제어), C6xx(리모컨·중계기), C8xx(GHP 전용)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3.1. C1xx: 실내기 회로·통신 오류
코드 | 원인 | 조치 안내 |
---|---|---|
C103/E103 | 표시부 ↔ 메인 회로 통신 불가 | 전원 코드 분리 → 10초 뒤 재연결/초기화 → 미해결 시 점검 |
C104/E104 | 중앙제어기 ↔ 실내기 통신 불가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초기화 → 미해결 시 점검 |
C105/E105 | 네트워크 부품 ↔ 내부 회로 불일치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 미해결 시 고객센터 문의 |
… | … | … |
Tip: 대부분 C1xx 오류는 ‘전원 초기화→재부팅’만으로 해결됩니다.
3.2. C2xx: 실외기·냉매 흐름 오류
-
C203/E203: 실외기 다대 설치 시 통신 불량 → 초기화
-
C220/E220: 가스 배관 온도 센서 이상 → 초기화 후 재점검
3.3. C3xx: 압축기·센서 이상
-
C301/E301 ~ C314/E314: 압축기 압력·윤활유 센서 이상 → 초기화
3.4. C4xx: 동결·보호 제어
-
C403/E403: 실외기 성에(얼음) 발생 → 성에 제거 후 재가동
-
C400/E400: 방열판 센서 이상 → 주변 정리 후 초기화
3.5. C6xx: 리모컨·중계기 통신 이상
-
C601/E601: 유선 리모컨 ↔ 실내기 신호 불일치 → 초기화
-
C611/E611: DMS 중계기 통신 불량 → DMS 전원 확인 → 초기화
3.6. C8xx: 가스식 시스템(GHP) 전용 코드
-
C801/E801 ~ C858/E858: GHP 엔진룸 센서·엔진 작동 이상 → 초기화
4. ‘삼성 에어컨 에러 코드’ 활용 팁
-
초기화 순서
-
실내기 전원 코드 분리 → 10초 후 재연결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동일 코드 지속 시 고객센터(☎1588-3366) 문의
-
-
AI 진단 사용법
-
리모컨 ‘설정’ → ‘AI진단’ → 자가 점검 후 코드 표시 확인
-
-
고객센터·전문가 연결
-
“C(E)” 코드가 계속 뜨면 무리한 재가동 금지, 전문 기술자 점검 권장
-
점검 코드 | 예상 원인 | 조치 안내 | 비고 |
---|---|---|---|
C103, E103 | 실내기 표시부 회로와 메인 회로가 통신을 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표시입니다. | □ 제품 초기화: 실내기 전원 코드 분리 후 10초 뒤 재연결□ 여전히 발생 시 고객센터(☎1588-3366) 문의 | |
C104, E104 |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 ↔ 중앙제어기 통신 불가 |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초기화□ 여전히 발생 시 고객센터 문의 | |
C105, E105 | 실내기 카메라 또는 네트워크 부품 ↔ 내부 회로 신호 전달 불일치 | □ 실내기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여전히 발생 시 고객센터 문의 | |
C106, E106 | 실내기 터치식 화면 ↔ 내부 회로 통신 불가 | □ 전원 코드 분리 후 10초 뒤 재연결 → 초기화□ 여전히 발생 시 고객센터 문의 | |
C107, E107 | 터치 입력 신호가 실외기로 전달되지 않을 때 표시 | □ 홈멀티 인버터: 실외기 전원 코드/차단기 확인□ 벽걸이: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초기화□ 중대형·시스템: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08, E108 |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에 설정된 고유 주소가 중복될 때 표시 | □ 설치점 또는 관리자에게 주소 중복 점검 요청□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09, E109 | 시스템 에어컨 가동 시 추적(트래킹)되지 않는 실내기 있을 때 표시 |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초기화□ 여전히 발생 시 고객센터 문의 | |
C110 | 하이드로 유니트(보일러) ↔ 조작 패널 통신 불가 |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초기화□ 여전히 발생 시 고객센터 문의 | |
C121, E121 | 실내기의 실내 온도 측정 센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표시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22, E122 | — | — | |
C123, E123 | — | — | |
C125, E125 | — | — | |
C144, E144 | — | — | |
C145, E145 | 열교환기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26, E126 | 냉풍 온도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27, E127 | 가스식 시스템 실내기 실내 온도 센서 이상 |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28, E128 | — | — | |
C129, E129 | — | — | |
C130, E130 | — | — | |
C147, E147 | — | — | |
C148, E148 | 배관 센서 이탈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34, E134 | 전면 패널 작동 불가 | □ 주변 장애물 제거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35, E135 | 청정팬 회전 속도 이상 |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38, E138 | 냄새 측정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39, E139 | 공기 탁도 측정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40, E140 | — | — | |
C196, E196 | — | — | |
C197, E197 | 먼지 측정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41, E141 | 이산화탄소(CO₂) 측정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42, E142 | 습도 측정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43, E143 | 실내 공간 감지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49, E149 | AHU 실내 온도 센서 설정 오류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51, E151 | — | — | |
C152, E152 | — | — | |
C156, E156 | — | — | |
C157, E157 | 가스 밸브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53, E153 | 워터 펌프/수위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54, E154 | — | — | |
C155, E155 | — | — | |
C176, E176 | 팬모터 이상 (상·중·하단 구분)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E158, E159 | U-모션 동작부 이상 (2010년 모델)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60, E160 | 시스템 에어컨 배수 펌프 이상 | □ 분전반 차단기 내려올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62, E162 | 내부 회로 설정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63, E163 | 전원 불안정/설정값 오류 | □ 리모컨 설정 확인 후 고객센터 문의 | |
C167, E167 | 중앙제어기/유선리모컨 설정 오류 | □ 설치점 또는 관리자에게 설정 점검 요청 → 고객센터 문의 | |
C168, E168 | 필터 커버(안전 커버) 열림 | □ 전원 끈 후 커버 조립 확인 → 재연결·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69, E169 | AHU 밸브 제어부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71, E171 | 열교환기 배관 온도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72, E172 | — | — | |
C173, E173 | 배관 센서 이탈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74, E174 | 전열교환기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77, E177 | DVM EHS 제품 긴급 문제 | □ 별도 조치 없음□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178, E178 | 전원 불안정/설정값 오류 | □ 전원 초기화 → 고객센터 문의 | |
C180, E180 | — | — | |
C181, E181 | — | — | |
C190, E190 | — | — | |
C191, E191 | 냉난방 밸브 제어 MCU 이상 | □ 전원 초기화 → 고객센터 문의 | |
C182, E182 | 전열교환기 실내 습도 센서 이상 | □ 전원 초기화 → 고객센터 문의 | |
C183, E183 | 전열교환기 실외 습도 센서 이상 | □ 전원 초기화 → 고객센터 문의 | |
C184, E184 | 수위 감지 센서 이상 | □ 물통 결합 확인/이물 거름망 청소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가습공기청정기 해당 |
C192, E192 | 실내 커버 열림 | □ 커버 조립 확인 → 전원 초기화 → 고객센터 문의 | |
C193, E193 | 조작 스위치 회로 이상 | □ 전원 초기화 → 고객센터 문의 | |
C194, E194 | 내부 전기 회로 이상 | □ 전원 초기화 → 고객센터 문의 |
점검 코드 | 예상 원인 | 조치 안내 | 비고 |
---|---|---|---|
C203, E203 | 실외기 2대 이상 설치 시 실외기끼리 신호 불가 | □ 분전반 차단기 내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1588-3366) 문의 | |
C204, E204 | MCU(가스 흐름 조절 장치) 대수 설정 불일치 | □ 분전반 차단기 내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시스템 에어컨 전용 |
C205, E205 | 실외기 내부 회로 ↔ 송풍 팬 통신 불가 | □ 분전반 차단기 내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시스템 에어컨 전용 |
C206, E206 | 송풍 팬 또는 내부 전원 회로 통신 불가 | □ 분전반 차단기 내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시스템 에어컨 전용 |
C210, E210 | MCU ↔ 실외기 통신 불가 | □ 분전반 차단기 내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시스템 에어컨 전용 |
C219, E219 | — | — | |
C220, E220 | 실내기 냉매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 □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21, E221 | — | — | |
C224, E224 | 냉각수 온도 센서 이상 | □ 분전반 차단기 내렸다 올리기 → 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26, E226 | 실외 온도 센서 이상 | □ 홈멀티 인버터: 실외기 전원 코드/차단기 확인□ 스탠드·벽걸이: 실내기 전원 코드 분리 후 재연결→초기화□ 중대형·시스템: 분전반 차단기 내렸다 올리기→초기화□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31, E231 | — | — | |
C236, E236 | — | — | |
C237, E237 | — | — | |
C241, E241 | — | — | |
C246, E246 | 실외기 열교환기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 □ 기종별 전원 초기화 절차 수행 →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51, E251 | — | — | |
C256, E256 | 압축기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 □ 기종별 전원 초기화 절차 수행 →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57, E257 | — | — | |
C258, E258 | 압축기 온도 센서 이상 | □ 기종별 전원 초기화 절차 수행 →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61, E261 | — | — | |
C262, E262 | — | — | |
C263, E263 | — | — | |
C264, E264 | 압축기 온도 센서 이상 | □ 기종별 전원 초기화 절차 수행 →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65, E265 | — | — | |
C266, E266 | — | — | |
C267, E267 | — | — | |
C268, E268 | — | — | |
C269, E269 | 압축기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 □ 기종별 전원 초기화 절차 수행 →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71, E281 | — | — | 번호 오류 가능 |
C276, E276 | — | — | |
C277, E277 | — | — | |
C278, E278 | — | — | |
C286, E286 | 압축기 내부 압력 센서 이상 | □ 기종별 전원 초기화 절차 수행 →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
C291, E291 | 압축기 내부 압력 센서 이상 | □ 기종별 전원 초기화 절차 수행 → 재발 시 고객센터 문의 |
결론 & 다음 예고
오늘 가이드에서는 여름 전 기본 점검 사항부터 DMS·AI 진단 활용법, 그리고 C1xx~C8xx 주요 코드별 원인과 해결책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따라 한 번만 점검해도 불시의 고장 스트레스에서 훨씬 자유로워질 거예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LG vs 삼성 에어컨: 성능·에너지 효율·유지보수 비용 비교”라는 주제로, 실제 사용자 경험과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두 브랜드를 심층 분석합니다.
-
전기요금 절감 효과
-
냉방 성능 비교
-
부품 교체·서비스 비용
을 꼼꼼히 다룰 예정이니, 놓치지 마세요!
“이제는 선택이 아닌 전략—내게 딱 맞는 에어컨을 찾아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세요!”